본문 바로가기

퇴사 후 연말정산 방법 확인

쉐어 2025. 1. 21.

퇴사 후 연말정산은 재취업 여부와 시기에 따라 절차가 달라집니다. 각 상황에 맞는 연말정산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퇴사 후 이직을 하셨거나, 퇴사 후 재취업 하지 않으신 경우 아래 글을 보시고 따라해 보시길 바랍니다. 연말정산은 홈택스에서 진행하시면 됩니다! 2025년 연말정산 달라진 부분도 바로 확인하실 수 있게 안내드립니다.

퇴사 후 연말정산 방법

퇴사 후 재취업한 경우

1.이전 직장에서의 원천징수영수증 수령

  • 필수 서류: 이전 직장에서 발급한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
  • 수령 방법:
    • 퇴사 시 해당 서류를 요청하거나
    • 다음 해 3월 이후 국세청 홈택스에서 조회 및 발급 가능합니다.

 2.현 직장에서의 연말정산 진행

  • 제출 서류: 이전 직장에서 받은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을 현 직장에 제출합니다.
  • 절차:
    • 현 직장은 이전 직장의 소득과 합산하여 연말정산을 진행합니다.
    • 이를 통해 두 직장에서의 소득과 공제를 모두 반영할 수 있습니다.
  • 주의 사항:
    • 이전 직장의 소득 내역이 누락되지 않도록 반드시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.
    • 만약 이전 직장에서 원천징수영수증을 받지 못했다면, 국세청 홈택스에서 조회하여 출력할 수 있습니다.

퇴사 후 미취업 상태인 경우

종합소득세 신고 준비

  • 필수 서류:
    •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
    • 공제 증빙 자료 (의료비, 교육비, 기부금 등)
  • 서류 수령 방법:
    • 이전 직장에서 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받거나
    • 다음 해 3월 이후 국세청 홈택스에서 조회 가능합니다.

종합소득세 신고 절차

  • 신고 기간: 다음 해 5월 1일 ~ 5월 31일
  • 신고 방법:
    • 국세청 홈택스 접속
    • 로그인 후 My홈택스 > 연말정산/지급명세서 > 지급명세서 등 제출내역에서 소득 내역 확인
    • 종합소득세 신고 메뉴에서 소득 및 공제 항목 입력 후 신고서 제출
  • 주의 사항:
    •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추가 공제를 신청하면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    • 신고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

공제 항목별 유의사항

  • 근로 기간 중 지출만 공제 가능한 항목
    • 보험료
    • 의료비
    • 교육비
    • 신용카드 사용액
    • 주택자금
  • 과세 기간 전체 지출 공제 가능한 항목:
    • 기부금
    • 국민연금보험료
    • 개인연금저축
    • 연금계좌

추가 환급 방법: 경정청구

  • 대상: 이전에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 신고를 놓친 경우
  • 신청 기간: 해당 과세 연도 종료 후 5년 이내
  • 신청 방법: 국세청 홈택스에서 경정청구 메뉴를 통해 신청
  • 주의 사항:
    • 경정청구를 통해 추가로 환급받을 수 있으므로, 놓친 공제 항목이 있다면 적극 활용해야 합니다.

퇴사 후 연말정산 시 주의사항

  • 원천징수영수증 보관:
    • 퇴사 시 반드시 수령하여 보관합니다.
    • 이는 추후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 신고 시 필수 자료입니다.
  • 공제 증빙 자료 준비:
    • 의료비, 교육비 등 공제 항목의 증빙 서류를 미리 준비하고 최소 5년간 보관합니다.
  • 신고 기한 준수:
    •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
    • 기한 내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퇴사 후에도 정확한 연말정산 절차를 따라 소중한 세금 환급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 각자의 상황에 맞는 절차를 숙지하고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원활한 연말정산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.

댓글